2년 마다 진행하는 자궁 경부암 검사. 이전에는 전혀 이상이 없다가 얼마전에 검사한 결과지에서
반응성 세포변화라는 결과값을 받았어요. 이게 무엇인지 암이 되는것인지 궁금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어요!
반응성 세포변화는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에서 흔히 발견되는 결과로, 염증이나 감염 등에 대한 세포의 반응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는 암이나 전암 단계(이형성증)와는 다른 양성 변화로, 대부분 위험하지 않지만 추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반응성 세포변화의 주요 원인
1.질염, 자궁경부염 등의 염증성 질환
2.호르몬 변화(피임약 복용, 임신 등)
3.세포 노화 또는 자극(성관계, 탐폰 사용 등)
4.일부 성병(클라미디아, 임질 등)
#위험성 평가
암과 직접적 연관 없음: 반응성 변화 자체는 암 또는 전암 병변이 아닙니다.
장기적 관찰 필요: 7년 추적 연구에서 CIN2-3(중등도 이상 전암 병변) 발생 위험이 정상군 대비 1.37배 높았으나, 암 발생 위험은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증상 동반 시 주의: 가려움, 냉 증가, 출혈 등이 있다면 성병 검사 또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추천 절차
증상 확인:
증상 없음 → 6개월~1년 후 재검
증상 있음 → 산부인과 진료(염증/성병 검사)
추가 검사:
HPV 검사: 반응성 변화와 HPV 감염 동반 시 더 빈번한 추적 필요
질 확대경 검사(콜포스코피): 지속적 반응성 변화 시 고려
생활 관리:
면역력 강화(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수면)
질 세정제/탐폰 사용 자제
흡연 금지(자궁경부 세포 재생 저해)
#주의사항
자궁경부암 검진 주기: 일반적으로 1~2년마다 권장되나, 반응성 변화가 있는 경우 6개월~1년 간격으로 단축.
HPV 백신: 예방 접종 미완료 시 9가 백신(가다실9) 접종 고려.
자가 치유 가능성: 80% 이상에서 추적 검사 시 정상 소견으로 회복
'우리 함께 건강해요! > 놓치기 쉬운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부민 수치가 건강을 좌우한다? 알부민의 놀라운 효능과 관리법. (2) | 2025.04.18 |
---|---|
식중독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사실 5가지! 특히 조심해야할 음식. (1) | 2025.04.17 |
국내반입금지 된 이브진통제, 이유와 대체품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5) | 2025.04.15 |
카페인만 먹으면 심장이 두근두근.. 커피 대신 먹기 좋은 음료 추천! (0) | 2025.04.14 |
아기 귀에 물이 들어갔을 때? 귀에 물빼는 법 확실하게 알려드려요! (0) | 2025.04.04 |